학사정보

교과목안내


경북과학대학교 교과목안내.jpg




교과목안내

문화재개론 (Introduciton to Cultural Properties)

민족의 문화유산인 문화재의 개념, 재질과 기능에 따른 문화재 종류 및 분류방법, 문화재의 중요성과 가치, 상징성 등을 이해시킨다. 특히 문화재를 보존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시킴으로서 문화재보호 및 보존에 대한 사명감을 고취시킨다.

보존과학개론 (Intreduction to Conservation Science)

재질과 파손 형태 등에 따라서 복원 및 보수, 수리 방법이 상이한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방법론을 소개한다. 뿐만 아니라 야외에 노출되어 있는 문화재는 물론, 옥내에 소장되어 있는 문화재의 보존 환경에 대한 이론을 강의한다.

한국문화사 (History of Korean Culture)

선사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한국문화의 모습과 그 발전과정을 세계사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우리 민족의 역사적 전통과 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인식과 올바른 문화관을 터득하게 한다.

차 문화론 (theory on tea culture)

문화복지시대에 차가 대표적인 기호식품문화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그 역사와 의미를 공부하고 실습을 통하여 배운다.

한국고고학개론 (Korean archaeology)

우리나라의 선사와 역사시대 고고학에 관한 이론과 방법을 이해하고 여러 문화유적에 관한 고고학적인 조사와 발굴성과를 살펴봄으로써 문화재 관리자로서의 전문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향토사와 지역문화 (Local history and culture)

지방자치시대에 요청되는 각 지역의 생활문화사(혹은 전체사)로서의 향토사의 의미를 살펴보며, 지역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 자료의 정리 및 문화원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해 이해시킨다.

한국미술사 (History of Korean Arts)

선사시대부터 고려・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추이에 따른 한국미술의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한국인의 미의식과 아울러 한국미술이 갖는 성격상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게 한다.

한국민속의 이해 (Korean Folklore)

의식주생활, 세시풍속, 민속놀이, 구비민속, 민속종료 등 전승되어 축적된 전통문화의 중요성과 가치를 이해시키고 민속자료의 수집방법과 연구영역을 강의한다.

금속유물보존연습 (Exercise on Metal Conservation)

각종 재질로 구성된 금속유물의 재질 및 형태분석방법과 원형복원 및 보존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기능을 반복하여 익힌다.

민화의 세계 circle of folk painting

민속미술의 역사와 의미, 민속미술의 분류 등 민화가 차지하는 예술적 위상을 이해한다.

유형문화재해설 (Tangible cultural assets explanation)

민족의 자산인 문화재를 적절히 관리하고 보존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문화재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우선 되어야 한다. 유형문화재 및 기념물과 민속자료에 대해 학술적・예술적 가치를 체득케 하며 나아가 문화재 해설사로서의 자질을 함양케 한다.

무덤유적해설 (grave site explanation)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무덤유적의 형태와 장례제도 등을 비교하여 재구성한다.

전통공예사( History of traditional art and crafts )

한국 전통공예에 대한 전승과 발전을 이해하며, 그것을 통한 전통 공예미의 예술적 특색과 기술적 특징을 파악하고 나아가 한국공예의 우수성을 인식하게 한다.

토ㆍ도유물보존연습 (Exercise on Pottery & Ceramic Conservation)

각종 토기와 도자기, 유리제품의 재질 및 형태분석방법과 원형복원 및 보존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기능을 반복하여 익힌다.

문화재관리실무 Management in Cultural Property

문화재 관련법규를 바탕으로 유형문화재와 무형문화재의 관리제도와 실제적 관리실무를 익힌다.

전공실무 연수 1 (on-the-job training 1)

강의실과 실험・실습실에서 연마한 이론과 기능을 연구소 등 현장에서 직접 실행하도록 하므로써 학습자 스스로 체험을 숙달하고 직업사회를 이해하도록 한다.

전공실무연수 2 (on-the-job training 2)

전공실무연수1에 이어 심화과정으로 강의실과 실험・실습실에서 연마한 이론과 기능을 연구소 등 현장에서 직접 실행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체험을 통하여 숙달하고 직업사회를 이해하도록 한다.

불교미술의 이해 (understanding of Buddhist art)

한국의 지정문화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불교문화유산 중에서 불교 회화와 조각 등을 이해한다.

건축문화재해설(architecture cultural assets explanation)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목조 및 석조건축물, 성곽에 이르기까지 건축문화재의 역사와 분류, 의미 등을 이해한다.

문화재관리프로젝트(1) (Project of Managing Cultural Properties(1))

유무형의 문화유산과 박물관, 관광거점 등에 대한 안내와 해설을 위한 스토리텔링기법을 터득한다.

문화재관리프로젝트(2) (Project of Managing Cultural Properties(2))

유무형의 문화0유산과 박물관, 관광거점 등을 대상으로 안내와 해설을 위한 프로젝트를 스행한 뒤 현장에서 실행해 본다.

박물관의 이해 (Introduction to Museography)

박물관의 개념과 전시 그리고 사회교육 등 박물관의 전반적인 내용에 관한 기초지식을 이해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된 문화재보호법과 기타 관련법규를 검토하여 문화재의 보호 및 관리 실무를 터득하게 한다.

문화재관련법규 (Cultural Property Laws)

우리민족이 창조한 물직적 정신적 부의 총체인 문화재를 보존하고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된 문화재보호법과 시행령 등 기타 관련법규를 검토하여 문화재의 보호 및 관리 실무를 터득하게 한다.

유물분류와 전시 (relic classification & exhibition)

다양한 종류의 유물을 분류하는 과학적 방법과 카드작성법, 유물을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전시하는 방법을 배운다.

무형문화재해설 (Intangible cultural assets explanation)

연극・음악・무용・공예 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 대한 이해를 통해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인식케 한다.

향토문화재해설 (Local cultural properties explanation)

지역사회의 유무형 문화유산에 대한 자료 수집과 해설 방법을 배우고 실제로 발표하도록 한다.

문화재활용법 (method of cultural assets application)

최고의 문화재보존은 문화재활용이라는 보존과학 철학에 따라 다양한 문화재의 활용역사와 활용방법에 대해 이해한다.